Git 시작하기 14 (Fetch 사용하기)
사용 버전: Atom 1.43.0 x64
운영체제: Windows 10 Home x64 1909
Git Fetch를 사용해보겠습니다.
원격 저장소(Remote Repository)와 로컬 저장소(Local Repository)의 차이 및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.
Fetch와 Pull의 차이점은 Merge 작동 여부입니다.
Pull은 자동으로 Merge를 실행하지만, Fetch는 그냥 상태만 확인할 뿐입니다.
원격 저장소에 다음과 같은 파일이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hf_yAGmXOUGqlu1-9HFX6b3ZXshGPATTzzmc3rmxpVxfXo2PBIe2zPvsc4mkfk2Edofk-AIO26WcgBfwHKgLnNVnaQfjoQ_0C5eq-6Cb4GXWW6XvyVY7X2dgNvDrXDBK3413R0FDCrmR0/s1600/1.png)
편의상 Fetch 1 폴더와 Fetch 2 폴더를 사용자라고 칭하겠습니다.
이것은 Fetch 1 사용자가 만들어서 Push 한 내용입니다.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jy-QkG8aA6NjRQUx8VDs9Bp8ErFwyAPU-N8DZfmQXqSBs4I1fAad1gyW8D67Ey_uOaF3Z9DujSHeKYcy_TJhoZTSpLARbMmNBpdLQwsmHkQjHgABrS_oCMNQQ0JDh0BHk4JcC3ZJbotEE/s1600/2.png)
Fetch 2 사용자는 Dialog.txt가 없는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.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jUfa9ZgO-rhJx1lPdZxtB7O9utkP8NoFXjdg_hw4BxWr3zFlztCE-jxJvF6XdpXiWKhFi6b1Eqep2z95CdJVAZdXjlE-MWqpnbpzvAJyFkqc83fO8H5l6dmksXZ-SEpZ0o1dH0xSBdv84/s1600/3.png)
Fetch 2 사용자는 자신이 파일을 생성하거나 수정하기 전 원격 저장소에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.
이때 사용할 수 있는 게 Fetch 또는 Pull입니다.
우리는 Fetch를 사용할 겁니다.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gsJvZHnjC9h8tYgz0I-YneKGy2YyjgGdLaAg5GHgs8waI0WOJGZnAiemRttCNRsUUdGxJWCa7hn06ylWMBYzyQor53rSpyN_MhW-uTub3New_CWgLKh5xoQ1JXUk9XA3C0TpYyqOJ8XQ8/s1600/4.png)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imjkpaRo3lV6fkvv8F-cZvrIE2UFDoPgIXKXK6_LJDiyeSsaSwLek0qE8mHAMpmSEiCzzvr1aTJH8jerDpwKnO5C8RXb3-_KLo9nTjfz6YMqm-hrjN4_MoWOCEKql9pZUwV3NyEh8kEUU/s1600/5.png)
Fetch가 끝난 후, 상태를 알려줍니다.
원격 저장소가 버전 1 개 더 많이 되어있으니, Pull을 하면 된다고 알려줍니다.
Pull을 해볼까요?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hAWtFA-OvmbDwY6DNHTCYgVZUis4lM-UZOGeMAPM0OQKfqNXTxOYeT8oth0BUEAK9tL4DhgxlCgIp1KrvbQgrrCTjNiCkO9uymvOAep-ACbiJkVmssCkj8eaO9i6lEknprn5yQdhyVbU0/s1600/6.png)
Pull을 하게 되면, 자동으로 V1이 생깁니다.
여기서 Fetch와 Pull의 차이점이 생깁니다.
Fetch는 그냥 상태 확인만 할 수 있습니다.
끝.
운영체제: Windows 10 Home x64 1909
Git Fetch를 사용해보겠습니다.
기획: Atom으로 Git 사용하기.
원격 저장소(Remote Repository)와 로컬 저장소(Local Repository)의 차이 및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.
Fetch와 Pull의 차이점은 Merge 작동 여부입니다.
Pull은 자동으로 Merge를 실행하지만, Fetch는 그냥 상태만 확인할 뿐입니다.
원격 저장소에 다음과 같은 파일이 있습니다.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hf_yAGmXOUGqlu1-9HFX6b3ZXshGPATTzzmc3rmxpVxfXo2PBIe2zPvsc4mkfk2Edofk-AIO26WcgBfwHKgLnNVnaQfjoQ_0C5eq-6Cb4GXWW6XvyVY7X2dgNvDrXDBK3413R0FDCrmR0/s1600/1.png)
편의상 Fetch 1 폴더와 Fetch 2 폴더를 사용자라고 칭하겠습니다.
이것은 Fetch 1 사용자가 만들어서 Push 한 내용입니다.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jy-QkG8aA6NjRQUx8VDs9Bp8ErFwyAPU-N8DZfmQXqSBs4I1fAad1gyW8D67Ey_uOaF3Z9DujSHeKYcy_TJhoZTSpLARbMmNBpdLQwsmHkQjHgABrS_oCMNQQ0JDh0BHk4JcC3ZJbotEE/s1600/2.png)
Fetch 2 사용자는 Dialog.txt가 없는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.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jUfa9ZgO-rhJx1lPdZxtB7O9utkP8NoFXjdg_hw4BxWr3zFlztCE-jxJvF6XdpXiWKhFi6b1Eqep2z95CdJVAZdXjlE-MWqpnbpzvAJyFkqc83fO8H5l6dmksXZ-SEpZ0o1dH0xSBdv84/s1600/3.png)
Fetch 2 사용자는 자신이 파일을 생성하거나 수정하기 전 원격 저장소에 변경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.
이때 사용할 수 있는 게 Fetch 또는 Pull입니다.
우리는 Fetch를 사용할 겁니다.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gsJvZHnjC9h8tYgz0I-YneKGy2YyjgGdLaAg5GHgs8waI0WOJGZnAiemRttCNRsUUdGxJWCa7hn06ylWMBYzyQor53rSpyN_MhW-uTub3New_CWgLKh5xoQ1JXUk9XA3C0TpYyqOJ8XQ8/s1600/4.png)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imjkpaRo3lV6fkvv8F-cZvrIE2UFDoPgIXKXK6_LJDiyeSsaSwLek0qE8mHAMpmSEiCzzvr1aTJH8jerDpwKnO5C8RXb3-_KLo9nTjfz6YMqm-hrjN4_MoWOCEKql9pZUwV3NyEh8kEUU/s1600/5.png)
Fetch가 끝난 후, 상태를 알려줍니다.
원격 저장소가 버전 1 개 더 많이 되어있으니, Pull을 하면 된다고 알려줍니다.
Pull을 해볼까요?
![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hAWtFA-OvmbDwY6DNHTCYgVZUis4lM-UZOGeMAPM0OQKfqNXTxOYeT8oth0BUEAK9tL4DhgxlCgIp1KrvbQgrrCTjNiCkO9uymvOAep-ACbiJkVmssCkj8eaO9i6lEknprn5yQdhyVbU0/s1600/6.png)
Pull을 하게 되면, 자동으로 V1이 생깁니다.
여기서 Fetch와 Pull의 차이점이 생깁니다.
Fetch는 그냥 상태 확인만 할 수 있습니다.
끝.
카테고리: BlackSmith, Git
댓글
댓글 쓰기
궁금한 점은 댓글 달아주세요.
Comment if you have any questions.